Event handlers only re-run when you perform the same interaction again. Unlike event handlers, Effects re-synchronize if some value they read, like a prop or a state variable, is different from what it was during the last render. Sometimes, you also want a mix of both behaviors: an Effect that re-runs in response to some values but not others. This page will teach you how to do that. 이벤트 핸들러는 같은 상호 작용을 다시 수행할 때만 다시 실행됩니다. 이벤트 핸들러와 달리, Effect는 prop 또는 state 변수와 같은 일부 값을 마지막 렌더링 때와 다른 값으로 읽게 되면 다시 동기화됩니다. 때로는 일부 값에 대한 응답으로 다시 실행되는 Effect와 그렇지 않은 Effect의 혼합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이를 어떻게 수행할 수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You will learn학습 내용
- How to choose between an event handler and an Effect
- Why Effects are reactive, and event handlers are not
- What to do when you want a part of your Effect’s code to not be reactive
- What Effect Events are, and how to extract them from your Effects
- How to read the latest props and state from Effects using Effect Events
- 이벤트 핸들러와 Effect 중에서 선택하는 방법
- Effect는 반응형이고 이벤트 핸들러는 반응형이 아닌 이유
- Effect 코드의 일부가 반응하지 않기를 원할 때 해야 할 일
- Effect Event란 무엇이며 Effect에서 추출하는 방법
- Effect Event를 사용하여 Effect에서 최신 props 및 state를 읽는 방법
Choosing between event handlers and Effects 이벤트 핸들러와 Effect 중 선택하기
First, let’s recap the difference between event handlers and Effects. 먼저, 이벤트 핸들러와 Effect의 차이점에 대해 다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Imagine you’re implementing a chat room component. Your requirements look like this: 채팅방 컴포넌트를 구현한다고 상상해보세요. 요구 사항을 다음과 같습니다:
- Your component should automatically connect to the selected chat room.
- When you click the “Send” button, it should send a message to the chat.
- 컴포넌트는 선택한 채팅방에 자동으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 “전송” 버튼을 클릭하면, 채팅에 메시지를 전송해야 합니다.
Let’s say you’ve already implemented the code for them, but you’re not sure where to put it. Should you use event handlers or Effects? Every time you need to answer this question, consider why the code needs to run. 이미 코드를 구현했지만, 이 코드를 어디에 놓아야 할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이벤트 핸들러와 Effects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요? 이 질문에 대답할 때마다, 코드가 실행되어야하는 이유를 생각해야합니다.
Event handlers run in response to specific interactions 이벤트 핸들러는 특정 상호 작용에 대한 응답으로 실행됩니다.
From the user’s perspective, sending a message should happen because the particular “Send” button was clicked. The user will get rather upset if you send their message at any other time or for any other reason. This is why sending a message should be an event handler. Event handlers let you handle specific interactions: 사용자 관점에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은 특정 “전송” 버튼을 클릭했기 때문에 발생되어야 합니다. 메시지가 다른 시간이나 다른 이유로 보내지면 사용자들은 화를 낼 것입니다. 이것이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이벤트 핸들러여야하는 이유입니다.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하면 특정 상호 작용에 대한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ChatRoom({ roomId }) {
const [message, setMessage] = useState('');
// ...
function handleSendClick() {
sendMessage(message);
}
// ...
return (
<>
<input value={message} onChange={e => setMessage(e.target.value)} />
<button onClick={handleSendClick}>Send</button>;
</>
);
}
With an event handler, you can be sure that sendMessage(message)
will only run if the user presses the button.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를 때만 sendMessage(message)
가 실행된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Effects run whenever synchronization is needed Effect는 동기화가 필요할 때마다 실행됩니다
Recall that you also need to keep the component connected to the chat room. Where does that code go? 컴포넌트는 채팅방에 연결한 상태로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한 코드는 어디에 있어야 할까요?
The reason to run this code is not some particular interaction. It doesn’t matter why or how the user navigated to the chat room screen. Now that they’re looking at it and could interact with it, the component needs to stay connected to the selected chat server. Even if the chat room component was the initial screen of your app, and the user has not performed any interactions at all, you would still need to connect. This is why it’s an Effect: 코드를 실행해야 하는 이유는 특정 상호 작용이 아닙니다. 사용자가 채팅방 화면으로 이동한 이유나 방법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사용자들이 채팅방 화면을 보고 상호작용 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컴포넌트는 선택한 채팅 서버에 계속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앱의 초기 화면이 채팅방 컴포넌트이고, 사용자가 어떤 상호작용도 수행하지 않았더라도 여전히 채팅 서버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Effect인 이유입니다:
function ChatRoom({ roomId }) {
//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roomId]);
// ...
}
With this code, you can be sure that there is always an active connection to the currently selected chat server, regardless of the specific interactions performed by the user. Whether the user has only opened your app, selected a different room, or navigated to another screen and back, your Effect ensures that the component will remain synchronized with the currently selected room, and will re-connect whenever it’s necessary. 이 코드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수행한 특정 상호작용과는 무관하게, 항상 현재 선택된 채팅 서버에 대한 활성화된 연결이 있음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앱을 열었을 때 뿐만 아니라, 다른 채팅방을 선택하거나 다른 화면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돌아와도 Effect가 현재 선택된 방과 동기화되어 컴포넌트에 항상 현재 선택된 채팅서버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됩니다. 또한, 필요할 때마다 다시 연결됩니다.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createConnection, sendMessage } from './chat.js'; const serverUrl = 'https://localhost:1234'; function ChatRoom({ roomId }) { const [message, setMessage] = useState('');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connection.disconnect(); }, [roomId]); function handleSendClick() { sendMessage(message); } return ( <> <h1>Welcome to the {roomId} room!</h1> <input value={message} onChange={e => setMessage(e.target.value)} /> <button onClick={handleSendClick}>Send</button> </> ); }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roomId, setRoomId] = useState('general'); const [show, setShow] = useState(false); return ( <> <label> Choose the chat room:{' '} <select value={roomId} onChange={e => setRoomId(e.target.value)} > <option value="general">general</option> <option value="travel">travel</option> <option value="music">music</option> </select> </label> <button onClick={() => setShow(!show)}> {show ? 'Close chat' : 'Open chat'} </button> {show && <hr />} {show && <ChatRoom roomId={roomId} />} </> ); }
Reactive values and reactive logic 반응형 값 및 반응형 로직
Intuitively, you could say that event handlers are always triggered “manually”, for example by clicking a button. Effects, on the other hand, are “automatic”: they run and re-run as often as it’s needed to stay synchronized. 직관적으로, 이벤트 핸들러는 버튼을 클릭하는 등 항상 “수동”으로 촉발시킨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Effect는 “자동”으로 동기화 상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만큼 자주 다시 실행됩니다.
There is a more precise way to think about this. 이에 대해 더 정확하게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Props, state, and variables declared inside your component’s body are called reactive values. In this example, serverUrl
is not a reactive value, but roomId
and message
are. They participate in the rendering data flow:
컴포넌트 본문 내부에 선언된 props, state, 변수를 반응형 값이라고 합니다. 이 예제에서 serverUrl
은 반응형 값이 아니지만 roomId
와 message
는 반응형 값입니다. 이들은 렌더링 데이터 흐름에 참여합니다:
const serverUrl = 'https://localhost:1234';
function ChatRoom({ roomId }) {
const [message, setMessage] = useState('');
// ...
}
Reactive values like these can change due to a re-render. For example, the user may edit the message
or choose a different roomId
in a dropdown. Event handlers and Effects respond to changes differently:
이와 같은 반응형 값은 리렌더링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message
를 수정하거나 드롭다운에서 다른 roomId
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핸들러와 Effect는 변경 사항에 다르게 반응합니다:
- Logic inside event handlers is not reactive. It will not run again unless the user performs the same interaction (e.g. a click) again. Event handlers can read reactive values without “reacting” to their changes.
- Logic inside Effects is reactive. If your Effect reads a reactive value, you have to specify it as a dependency. Then, if a re-render causes that value to change, React will re-run your Effect’s logic with the new value.
- 이벤트 핸들러 내부의 로직은 반응형이 아닙니다. 사용자가 동일한 상호작용(예: 클릭)을 다시 수행하지 않는 한 다시 실행되지 않습니다. 이벤트 핸들러는 변경에 “반응”하지 않고 반응형 값을 읽을 수 있습니다.
- Effects 내부의 로직은 반응형입니다. Effect에서 반응형 값을 읽는 경우 의존성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리렌더링으로 인해 해당 값이 변경되면 React는 새 값으로 Effect의 로직을 다시 실행합니다.
Let’s revisit the previous example to illustrate this difference. 이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이전 예제를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Logic inside event handlers is not reactive 이벤트 핸들러 내부의 로직은 반응형이 아닙니다
Take a look at this line of code. Should this logic be reactive or not? 이 코드 라인를 살펴보세요. 이 로직이 반응형이어야 할까요, 아닐까요?
// ...
sendMessage(message);
// ...
From the user’s perspective, a change to the message
does not mean that they want to send a message. It only means that the user is typing. In other words, the logic that sends a message should not be reactive. It should not run again only because the reactive value has changed. That’s why it belongs in the event handler:
사용자의 관점에서 볼 때 message
가 변경되었다고 해서 메시지를 보내겠다는 뜻은 아닙니다. 사용자가 입력 중이라는 의미일 뿐입니다. 즉, 메시지를 전송하는 로직은 반응적이어서는 안 됩니다. 반응형 값이 변경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다시 실행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것이 바로 이벤트 핸들러에 속하는 이유입니다:
function handleSendClick() {
sendMessage(message);
}
Event handlers aren’t reactive, so sendMessage(message)
will only run when the user clicks the Send button.
이벤트 핸들러는 반응형이 아니므로 사용자가 보내기 버튼을 클릭할 때만 sendMessage(message)
가 실행됩니다.
Logic inside Effects is reactive Effect 내부의 로직은 반응형입니다
Now let’s return to these lines: 이제 이 라인으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 ...
From the user’s perspective, a change to the roomId
does mean that they want to connect to a different room. In other words, the logic for connecting to the room should be reactive. You want these lines of code to “keep up” with the reactive value, and to run again if that value is different. That’s why it belongs in an Effect: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roomId
가 변경되었다는 것은 다른 룸에 연결하고 싶다는 의미입니다. 즉, 방에 연결하기 위한 로직은 반응형이어야 합니다. 이러한 코드 라인은 반응형 값을 “따라잡고”, 값이 달라지면 다시 실행되기를 원합니다. 이것이 바로 Effect에 속하는 이유입니다: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roomId]);
Effects are reactive, so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and connection.connect()
will run for every distinct value of roomId
. Your Effect keeps the chat connection synchronized to the currently selected room.
Effect는 반응형이므로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및 connection.connect()
코드는 roomId
의 모든 고유값에 대해 실행됩니다. Effect는 현재 선택된 방에 따라 채팅 연결을 동기화합니다.
Extracting non-reactive logic out of Effects Effect에서 비반응형 로직 추출하기
Things get more tricky when you want to mix reactive logic with non-reactive logic. 반응형 로직과 비반응형 로직을 함께 사용하려는 경우 상황이 더 까다로워집니다.
For example, imagine that you want to show a notification when the user connects to the chat. You read the current theme (dark or light) from the props so that you can show the notification in the correct color: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팅에 연결할 때 알림을 표시하고 싶다고 가정해 봅시다. props에서 현재 테마(dark or light)를 읽어 올바른 색상으로 알림을 표시합니다:
function ChatRoom({ roomId, theme })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on('connected', () => {
showNotification('Connected!', theme);
});
connection.connect();
// ...
However, theme
is a reactive value (it can change as a result of re-rendering), and every reactive value read by an Effect must be declared as its dependency. Now you have to specify theme
as a dependency of your Effect:
그러나, theme
는 반응형 값이며(리렌더링의 결과로 변경될 수 있음), Effect에서 읽는 모든 반응형 값은 의존성으로 선언해야 합니다. 이제 theme
를 Effect의 의존성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function ChatRoom({ roomId, theme })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on('connected', () => {
showNotification('Connected!', theme);
});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roomId, theme]); // ✅ All dependencies declared
// ...
Play with this example and see if you can spot the problem with this user experience: 이 예제를 실행하면서 이 사용자 경험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createConnection, sendMessage } from './chat.js'; import { showNotification } from './notifications.js'; const serverUrl = 'https://localhost:1234'; function ChatRoom({ roomId, theme })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on('connected', () => { showNotification('Connected!', theme); }); connection.connect(); return () => connection.disconnect(); }, [roomId, theme]); return <h1>Welcome to the {roomId} room!</h1> }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roomId, setRoomId] = useState('general'); const [isDark, setIsDark] = useState(false); return ( <> <label> Choose the chat room:{' '} <select value={roomId} onChange={e => setRoomId(e.target.value)} > <option value="general">general</option> <option value="travel">travel</option> <option value="music">music</option> </select> </label> <label> <input type="checkbox" checked={isDark} onChange={e => setIsDark(e.target.checked)} /> Use dark theme </label> <hr /> <ChatRoom roomId={roomId} theme={isDark ? 'dark' : 'light'} /> </> ); }
When the roomId
changes, the chat re-connects as you would expect. But since theme
is also a dependency, the chat also re-connects every time you switch between the dark and the light theme. That’s not great!
roomId
가 변경되면, 예상한대로 채팅이 다시 연결됩니다. 하지만 theme
도 의존성이기 때문에 dark 테마와 light 테마 사이를 전환할 때마다 채팅이 또다시 다시 연결됩니다. 좋지 않죠!
In other words, you don’t want this line to be reactive, even though it is inside an Effect (which is reactive): 다시 말해, 이 라인이 반응형 Effect안에 있더라도 이 라인이 반응형 Effect가 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 ...
showNotification('Connected!', theme);
// ...
You need a way to separate this non-reactive logic from the reactive Effect around it. 이 비반응형 로직을 주변의 반응형 Effect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Declaring an Effect EventEffect Event 선언하기
Use a special Hook called useEffectEvent
to extract this non-reactive logic out of your Effect:
이 비반응형 로직을 Effect에서 추출하려면 useEffectEvent
라는 특수 Hook을 사용합니다:
import { useEffect, useEffectEvent } from 'react';
function ChatRoom({ roomId, theme }) {
const onConnected = useEffectEvent(() => {
showNotification('Connected!', theme);
});
// ...
Here, onConnected
is called an Effect Event. It’s a part of your Effect logic, but it behaves a lot more like an event handler. The logic inside it is not reactive, and it always “sees” the latest values of your props and state.
여기서 onConnected
는 Effect Event라고 불리며, Effect 로직의 일부이지만 이벤트 핸들러처럼 동작합니다. 그 내부의 로직은 반응형으로 동작하지 않으며, 항상 props와 state의 최신 값을 “확인”합니다.
Now you can call the onConnected
Effect Event from inside your Effect:
이제 Effect 내부에서 onConnected
Effect Event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ChatRoom({ roomId, theme }) {
const onConnected = useEffectEvent(() => {
showNotification('Connected!', theme);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on('connected', () => {
onConnected();
});
connection.connect();
return () => connection.disconnect();
}, [roomId]); // ✅ All dependencies declared
// ...
This solves the problem. Note that you had to remove onConnected
from the list of your Effect’s dependencies. Effect Events are not reactive and must be omitted from dependencies.
이렇게 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Effect의 의존성 목록에서 onConnected
를 제거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Effect Event는 반응형 이벤트가 아니므로 의존성에서 생략해야 합니다.
Verify that the new behavior works as you would expect: 새 동작이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experimental_useEffectEvent as useEffectEvent } from 'react'; import { createConnection, sendMessage } from './chat.js'; import { showNotification } from './notifications.js'; const serverUrl = 'https://localhost:1234'; function ChatRoom({ roomId, theme }) { const onConnected = useEffectEvent(() => { showNotification('Connected!', theme);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on('connected', () => { onConnected(); }); connection.connect(); return () => connection.disconnect(); }, [roomId]); return <h1>Welcome to the {roomId} room!</h1> }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roomId, setRoomId] = useState('general'); const [isDark, setIsDark] = useState(false); return ( <> <label> Choose the chat room:{' '} <select value={roomId} onChange={e => setRoomId(e.target.value)} > <option value="general">general</option> <option value="travel">travel</option> <option value="music">music</option> </select> </label> <label> <input type="checkbox" checked={isDark} onChange={e => setIsDark(e.target.checked)} /> Use dark theme </label> <hr /> <ChatRoom roomId={roomId} theme={isDark ? 'dark' : 'light'} /> </> ); }
You can think of Effect Events as being very similar to event handlers. The main difference is that event handlers run in response to a user interactions, whereas Effect Events are triggered by you from Effects. Effect Events let you “break the chain” between the reactivity of Effects and code that should not be reactive. Effect Event는 이벤트 핸들러와 매우 유사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이벤트 핸들러는 사용자 상호작용에 대한 응답으로 실행되는 반면, Effect Event는 Effect에서 사용자가 촉발한다는 점입니다. Effect Event를 사용하면 Effect의 반응성과 반응형으로 동작해서는 안 되는 코드 사이의 “사슬을 끊을 수 있습니다”.
Reading latest props and state with Effect Events Effect Event로 최신 props 및 state 읽기
Effect Events let you fix many patterns where you might be tempted to suppress the dependency linter. Effect Event를 사용하면 억제하고 싶을 수 있는 많은 의존성 linter 패턴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For example, say you have an Effect to log the page visits: 예를 들어, 페이지 방문을 기록하는 Effect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function Page() {
useEffect(() => {
logVisit();
}, []);
// ...
}
Later, you add multiple routes to your site. Now your Page
component receives a url
prop with the current path. You want to pass the url
as a part of your logVisit
call, but the dependency linter complains:
나중에 사이트에 여러 경로를 추가합니다. 이제 Page
컴포넌트는 현재 경로가 포함된 url
prop을 받습니다. logVisit
호출 시 url
을 전달하고 싶지만 의존성 linter가 불평합니다:
function Page({ url }) {
useEffect(() => {
logVisit(url);
}, []); // 🔴 React Hook useEffect has a missing dependency: 'url'
// ...
}
Think about what you want the code to do. You want to log a separate visit for different URLs since each URL represents a different page. In other words, this logVisit
call should be reactive with respect to the url
. This is why, in this case, it makes sense to follow the dependency linter, and add url
as a dependency:
코드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 생각해 보세요. 각 URL이 서로 다른 페이지를 나타내므로 서로 다른 URL에 대해 별도로 방문을 기록하려고 합니다. 다시 말해, 이 logVisit
호출은 url
에 반드시 반응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경우 의존성 linter를 따르고 url
을 의존성으로 추가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function Page({ url }) {
useEffect(() => {
logVisit(url);
}, [url]); // ✅ All dependencies declared
// ...
}
Now let’s say you want to include the number of items in the shopping cart together with every page visit: 이제 모든 페이지 방문 기록 시 장바구니에 있는 품목의 수를 포함하려고 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function Page({ url }) {
const { items } = useContext(ShoppingCartContext);
const numberOfItems = items.length;
useEffect(() => {
logVisit(url, numberOfItems);
}, [url]); // 🔴 React Hook useEffect has a missing dependency: 'numberOfItems'
// ...
}
You used numberOfItems
inside the Effect, so the linter asks you to add it as a dependency. However, you don’t want the logVisit
call to be reactive with respect to numberOfItems
. If the user puts something into the shopping cart, and the numberOfItems
change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user visited the page again. In other words, visiting the page is, in some sense, an “event”. It happens at a precise moment in time.
Effect 내부에서 numberOfItems
를 사용했기 때문에, Linter는 이를 의존성으로 추가하라고 요청합니다. 그러나 logVisit
호출이 numberOfItems
에 대해 반응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무언가를 넣고 numberOfItems
가 변경되는 것이 사용자가 페이지를 다시 방문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즉, 페이지 방문은 어떤 의미에서 “이벤트”입니다. 이는 정확한 순간에 발생합니다.
Split the code in two parts: 코드를 두 부분으로 나눠봅시다:
function Page({ url }) {
const { items } = useContext(ShoppingCartContext);
const numberOfItems = items.length;
const onVisit = useEffectEvent(visitedUrl => {
logVisit(visitedUrl, numberOfItems);
});
useEffect(() => {
onVisit(url);
}, [url]); // ✅ All dependencies declared
// ...
}
Here, onVisit
is an Effect Event. The code inside it isn’t reactive. This is why you can use numberOfItems
(or any other reactive value!) without worrying that it will cause the surrounding code to re-execute on changes.
여기서 onVisit
는 Effect Event입니다. 그 안의 코드는 반응형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변경 시 주변 코드가 다시 실행될 것을 걱정할 필요 없이 numberOfItems
(또는 다른 반응형 값!)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itself remains reactive. Code inside the Effect uses the url
prop, so the Effect will re-run after every re-render with a different url
. This, in turn, will call the onVisit
Effect Event.
반면에 Effect 자체는 반응형으로 유지됩니다. Effect 내부의 코드는 url
prop을 사용하므로, Effect는 다른 url
로 다시 렌더링할 때마다 다시 실행됩니다. 그러면 onVisit
Effect Event가 호출됩니다.
As a result, you will call logVisit
for every change to the url
, and always read the latest numberOfItems
. However, if numberOfItems
changes on its own, this will not cause any of the code to re-run.
결과적으로 url
이 변경될 때마다 logVisit
을 호출하고 항상 최신numberOfItems
를 읽게 됩니다. 그러나 numberOfItems
가 자체적으로 변경되면 코드가 다시 실행되지 않습니다.
Deep Dive | 심층 탐구
In the existing codebases, you may sometimes see the lint rule suppressed like this: 기존 코드베이스에서는 때때로 다음과 같이 Lint 규칙이 억제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function Page({ url }) {
const { items } = useContext(ShoppingCartContext);
const numberOfItems = items.length;
useEffect(() => {
logVisit(url, numberOfItems);
// 🔴 Avoid suppressing the linter like this:
// eslint-disable-next-line react-hooks/exhaustive-deps
}, [url]);
// ...
}
After useEffectEvent
becomes a stable part of React, we recommend never suppressing the linter.
useEffectEvent
가 React의 안정적인 API가 된 후에는 Linter를 억제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The first downside of suppressing the rule is that React will no longer warn you when your Effect needs to “react” to a new reactive dependency you’ve introduced to your code. In the earlier example, you added url
to the dependencies because React reminded you to do it. You will no longer get such reminders for any future edits to that Effect if you disable the linter. This leads to bugs.
이 규칙을 억제하는 첫 번째 단점은 코드에 도입한 새로운 반응형 의존성에 Effect가 “반응”해야 할 때 React가 더 이상 경고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앞선 예제에서는 React가 알려줬기 때문에 url
을 의존성에 추가했습니다. Linter를 비활성화하면 해당 Effect를 이후에 수정할 때 더이상 이러한 경고를 받지 않게 됩니다. 이것은 버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Here is an example of a confusing bug caused by suppressing the linter. In this example, the handleMove
function is supposed to read the current canMove
state variable value in order to decide whether the dot should follow the cursor. However, canMove
is always true
inside handleMove
.
다음은 Linter를 억제하여 발생하는 혼란스러운 버그의 예입니다. 이 예제에서 handleMove
함수는 커서를 따라갈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현재 canMove
state 변수 값을 읽어야 합니다. 그러나 canMove
는 handleMove
내부에서 항상 true
입니다.
Can you see why? 그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position, setPosition] = useState({ x: 0, y: 0 }); const [canMove, setCanMove] = useState(true); function handleMove(e) { if (canMove) { setPosition({ x: e.clientX, y: e.clientY }); } } useEffect(() => { window.addEventListener('pointermove', handleMove); return () => window.removeEventListener('pointermove', handleMove); // eslint-disable-next-line react-hooks/exhaustive-deps }, []); return ( <> <label> <input type="checkbox" checked={canMove} onChange={e => setCanMove(e.target.checked)} /> The dot is allowed to move </label> <hr /> <div style={{ position: 'absolute', backgroundColor: 'pink', borderRadius: '50%', opacity: 0.6, transform: `translate(${position.x}px, ${position.y}px)`, pointerEvents: 'none', left: -20, top: -20, width: 40, height: 40, }} /> </> ); }
The problem with this code is in suppressing the dependency linter. If you remove the suppression, you’ll see that this Effect should depend on the handleMove
function. This makes sense: handleMove
is declared inside the component body, which makes it a reactive value. Every reactive value must be specified as a dependency, or it can potentially get stale over time!
이 코드의 문제는 의존성 Linter를 억제하는 데 있습니다. 억제를 제거하면 이 Effect가 handleMove
함수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andleMove
는 컴포넌트 본문 내부에서 선언되어 반응형 값이 되기 때문입니다. 모든 반응형 값은 의존성으로 지정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 낡을 수 있습니다!
The author of the original code has “lied” to React by saying that the Effect does not depend ([]
) on any reactive values. This is why React did not re-synchronize the Effect after canMove
has changed (and handleMove
with it). Because React did not re-synchronize the Effect, the handleMove
attached as a listener is the handleMove
function created during the initial render. During the initial render, canMove
was true
, which is why handleMove
from the initial render will forever see that value.
원래 코드의 작성자는 Effect가 어떤 반응형 값에도 의존하지([]
) 않는다고 말함으로써 React에 “거짓말”을 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canMove
가 변경된 후 React가 Effect를 다시 동기화하지 않은 이유입니다(그리고 handleMove
도 함께). React가 Effect를 다시 동기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리스너로 첨부된 handleMove
는 초기 렌더링 중에 생성된 handleMove
함수입니다. 초기 렌더링 중에 canMove
는 true
였기 때문에 초기 렌더링의 handleMove
는 영원히 그 값을 보게 됩니다.
If you never suppress the linter, you will never see problems with stale values. Linter를 억제하지 않으면 오래된 값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With useEffectEvent
, there is no need to “lie” to the linter, and the code works as you would expect:
useEffectEvent
를 사용하면 Linter에 “거짓말”을 할 필요가 없으며 코드가 예상대로 작동합니다: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experimental_useEffectEvent as useEffectEvent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position, setPosition] = useState({ x: 0, y: 0 }); const [canMove, setCanMove] = useState(true); const onMove = useEffectEvent(e => { if (canMove) { setPosition({ x: e.clientX, y: e.clientY }); } }); useEffect(() => { window.addEventListener('pointermove', onMove); return () => window.removeEventListener('pointermove', onMove); }, []); return ( <> <label> <input type="checkbox" checked={canMove} onChange={e => setCanMove(e.target.checked)} /> The dot is allowed to move </label> <hr /> <div style={{ position: 'absolute', backgroundColor: 'pink', borderRadius: '50%', opacity: 0.6, transform: `translate(${position.x}px, ${position.y}px)`, pointerEvents: 'none', left: -20, top: -20, width: 40, height: 40, }} /> </> ); }
This doesn’t mean that useEffectEvent
is always the correct solution. You should only apply it to the lines of code that you don’t want to be reactive. In the above sandbox, you didn’t want the Effect’s code to be reactive with regards to canMove
. That’s why it made sense to extract an Effect Event.
그렇다고 해서 useEffectEvent
가 항상 올바른 해결책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반응하지 않으려는 코드 줄에만 적용해야 합니다. 위의 샌드박스에서는 canMove
와 관련하여 Effect의 코드가 반응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Effect Event를 추출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Read Removing Effect Dependencies for other correct alternatives to suppressing the linter. Linter를 억제하는 다른 올바른 대안에 대해서는 Effect 의존성 제거하기를 읽어보세요.
Limitations of Effect EventsEffect Event의 제한사항
Effect Events are very limited in how you can use them: Effect Event는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제한적입니다:
- Only call them from inside Effects.
- Never pass them to other components or Hooks.
- Effect 내부에서만 호출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컴포넌트나 Hook에 전달하지 마세요.
For example, don’t declare and pass an Effect Event like this: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Effect Event를 선언하고 전달하지 마세요:
function Timer()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onTick = useEffectEvent(() => {
setCount(count + 1);
});
useTimer(onTick, 1000); // 🔴 Avoid: Passing Effect Events
return <h1>{count}</h1>
}
function useTimer(callback, delay) {
useEffect(() => {
const id = setInterval(() => {
callback();
}, delay);
return () => {
clearInterval(id);
};
}, [delay, callback]); // Need to specify "callback" in dependencies
}
Instead, always declare Effect Events directly next to the Effects that use them: 대신 항상 Effect Event를 사용하는 Effect 바로 옆에 Effect Event를 선언하세요:
function Timer()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useTimer(() => {
setCount(count + 1);
}, 1000);
return <h1>{count}</h1>
}
function useTimer(callback, delay) {
const onTick = useEffectEvent(() => {
callback();
});
useEffect(() => {
const id = setInterval(() => {
onTick(); // ✅ Good: Only called locally inside an Effect
}, delay);
return () => {
clearInterval(id);
};
}, [delay]); // No need to specify "onTick" (an Effect Event) as a dependency
}
Effect Events are non-reactive “pieces” of your Effect code. They should be next to the Effect using them. Effect Event는 Effect 코드의 비반응형 “조각”입니다. Effect Event는 이를 사용하는 Effect 옆에 있어야 합니다.
Recap요약
- Event handlers run in response to specific interactions.
- Effects run whenever synchronization is needed.
- Logic inside event handlers is not reactive.
- Logic inside Effects is reactive.
- You can move non-reactive logic from Effects into Effect Events.
- Only call Effect Events from inside Effects.
- Don’t pass Effect Events to other components or Hooks.
- 이벤트 핸들러는 특정 상호 작용에 대한 응답으로 실행됩니다.
- Effect는 동기화가 필요할 때마다 실행됩니다.
- 이벤트 핸들러 내부의 로직은 반응형이 아닙니다.
- Effect 내부의 로직은 반응적입니다.
- 비반응적 로직을 Effect에서 Effect Event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Effect 내부에서만 Effect Event를 호출하세요.
- Effect Event를 다른 컴포넌트나 Hook에 전달하지 마세요.
Challenge 1 of 4: Fix a variable that doesn’t update 업데이트되지 않는 변수 수정
This Timer
component keeps a count
state variable which increases every second. The value by which it’s increasing is stored in the increment
state variable. You can control the increment
variable with the plus and minus buttons.
이 Timer
컴포넌트는 매초마다 증가하는 count
state 변수를 유지합니다. 카운트가 증가하는 값은 increment
state 변수에 저장됩니다. 더하기 및 빼기 버튼으로 increment
변수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However, no matter how many times you click the plus button, the counter is still incremented by one every second. What’s wrong with this code? Why is increment
always equal to 1
inside the Effect’s code? Find the mistake and fix it.
그러나 더하기 버튼을 몇 번 클릭해도 카운터는 여전히 매초마다 1씩 증가합니다. 이 코드에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Effect 코드에서 increment
가 항상 1
과 같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실수를 찾아서 수정하세요.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Timer()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increment, setIncrement] = useState(1); useEffect(() => { const id = setInterval(() => { setCount(c => c + increment); }, 1000); return () => { clearInterval(id); }; // eslint-disable-next-line react-hooks/exhaustive-deps }, []); return ( <> <h1> Counter: {count} <button onClick={() => setCount(0)}>Reset</button> </h1> <hr /> <p> Every second, increment by: <button disabled={increment === 0} onClick={() => { setIncrement(i => i - 1); }}>–</button> <b>{increment}</b> <button onClick={() => { setIncrement(i => i + 1); }}>+</button> </p> </> ); }